본문 바로가기

네트워크 기초 초보자를 위한 쉬운 네트워크 가이드

by 네이비CCTV 2025. 3. 18.
반응형

 

네트워크 기초: 초보자를 위한 쉬운 네트워크 가이드

"네트워크"라는 말을 들으면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지시나요? 하지만 우리 주변 어디에나 네트워크가 있습니다!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을 하거나, 집에서 Wi-Fi를 사용하거나, 회사에서 파일을 공유하는 모든 것이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.

안녕하세요! 오늘은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을 쉽고 재미있게 알아보겠습니다. 이 글을 읽고 나면 네트워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, 우리 일상생활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! 😉

네트워크 기초다지기

목차

    1. 네트워크란 무엇일까요?

    네트워크(Network)는 여러 장치(컴퓨터, 스마트폰, 서버 등)들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와 자원을 공유하고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합니다. 마치 사람들이 서로 이야기하고 정보를 주고받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.

    • 데이터 공유: 파일, 사진, 동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.
    • 자원 공유: 프린터, 스캐너, 저장 장치 등 하드웨어를 여러 장치에서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통신: 이메일, 메신저, 화상 회의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.

    일상생활 속 네트워크 예시:

    • 인터넷: 전 세계 컴퓨터를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
    • 와이파이(Wi-Fi): 집이나 카페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
    • 스마트폰: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고, 다른 사람과 통화/문자
    • 회사 네트워크: 사내 컴퓨터, 프린터, 서버 등을 연결하여 업무 효율을 높이는 것

    2. 네트워크 구성 요소: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요?

    네트워크는 크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됩니다. 각 구성 요소들이 서로 협력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고, 우리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.

    2.1. 하드웨어

    • 컴퓨터: 데이터를 처리하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장치입니다.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와 다른 컴퓨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(NIC, 랜카드):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장치입니다.
    • 케이블: 장치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선입니다. UTP 케이블(흔히 '랜선'이라고 부르는), 광케이블 등이 있습니다.
    • 허브(Hub):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입니다. 들어온 데이터를 모든 컴퓨터에 보내는 방식(더미 허브)으로 동작하여, 효율이 떨어집니다. 요즘은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.
    • 스위치(Switch): 허브와 비슷하지만, 데이터를 받는 컴퓨터만 선별하여 보내주기 때문에 더 효율적입니다.
    • 라우터(Router):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입니다. 인터넷 공유기가 대표적인 예입니다.
    • 공유기: 하나의 인터넷 회선을 여러 장치가 나눠 쓸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
    • 방화벽(Firewall): 외부의 불법적인 접근으로부터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장치입니다.

    네트워크 구성 요소 하드웨어

    2.2. 소프트웨어

    • 운영체제(OS): 컴퓨터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. Windows, macOS, Linux 등이 있습니다. 네트워크 기능도 포함하고 있습니다.
    • 네트워크 프로토콜: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규칙입니다. TCP/IP, HTTP, FTP, DNS 등 다양한 프로토콜이 있습니다.
    • 애플리케이션: 웹 브라우저(Chrome, Edge, Safari 등), 이메일 클라이언트, 메신저 등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.

    네트워크 소프트웨어

    3. 네트워크 종류: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?

    네트워크는 규모, 연결 형태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

    3.1. 규모에 따른 분류

    • LAN (Local Area Network): 가정, 사무실, 학교 등 비교적 좁은 지역의 네트워크입니다.
    • MAN (Metropolitan Area Network): 도시 규모의 네트워크입니다.
    • WAN (Wide Area Network): 국가 또는 전 세계 규모의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입니다. 인터넷이 대표적인 WAN입니다.

    3.2. 연결 형태에 따른 분류

    • 성형(Star): 중앙 장치(허브 또는 스위치)에 모든 장치가 연결된 형태입니다. 관리가 쉽고, 한 장치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.
    • 버스형(Bus): 하나의 긴 케이블에 모든 장치가 연결된 형태입니다. 설치가 간단하지만, 케이블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가 마비될 수 있습니다.
    • 링형(Ring): 각 장치가 이웃한 두 장치와 연결되어 고리 모양을 이루는 형태입니다. 데이터는 한 방향으로만 전송됩니다.
    • 그물형(Mesh) : 모든 장비들이 서로 그물(Mesh)처럼 상호 연결된 형태입니다.
    • 계층형(Tree): 트리 형태로, 상위 노드와 하위 노드로 구분되어 연결된 형태를 말합니다.

    네트워크 종류

    4. 네트워크 프로토콜: 네트워크의 언어

   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컴퓨터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규약입니다. 사람들이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것처럼, 네트워크 장치들도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.

    4.1 TCP/IP

    TCP/IP는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. 데이터를 작은 조각(패킷)으로 나누어 보내고, 받는 쪽에서 다시 조립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.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.

    • 4계층: 애플리케이션 계층, 전송 계층, 인터넷 계층,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
    • 5계층: 애플리케이션 계층, 전송 계층, 네트워크 계층, 데이터 링크 계층, 물리 계층

    4.2 IP 주소

   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각 장치(컴퓨터, 스마트폰, 서버 등)를 식별하는 고유한 번호입니다. IPv4와 IPv6 두 가지 주소 체계가 있습니다.

    • IPv4: 32비트 주소 (예: 192.168.0.1)
    • IPv6: 128비트 주소 (예: 2001:0db8:85a3:0000:0000:8a2e:0370:7334)

    4.3 MAC 주소

    MAC 주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(NIC)에 제조사에서 부여하는 고유한 물리적 주소입니다. 장치를 제조할 때 부여되므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.

    4.4 Port

    포트는 하나의 IP 주소 내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를 구분하는 번호입니다. 예를 들어, 웹 서버는 80번 포트(HTTP) 또는 443번 포트(HTTPS)를 사용합니다.

    4.5 DNS

    DNS(Domain Name System)는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(예: www.example.com)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입니다.

    4.6 DHCP

    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는 네트워크에 새로운 장치가 연결될 때 자동으로 IP 주소, 서브넷 마스크, 게이트웨이 등을 할당해 주는 프로토콜입니다.

    5. 네트워크 보안

    네트워크 보안은 외부의 불법적인 접근이나 공격으로부터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보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
    • 방화벽(Firewall):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네트워크 트래픽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시스템입니다.
    • VPN (Virtual Private Network): 공용 네트워크(인터넷)를 사용하면서도 가상의 전용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입니다.
    • 암호화: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인가되지 않은 사람이 내용을 볼 수 없도록 하는 기술입니다. (예: HTTPS)

    네트워크 보안

    6. OSI 7계층

   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기능을 계층별로 나누어 놓은 것입니다.

    • 물리계층: 비트, 전압, 데이터 속도등 물리적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기적, 기계적, 기능적 특성
    • 데이터 링크 계층:물리적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수단을 제공합니다. MAC주소를 사용
    • 네트워크 계층: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을 라우팅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. IP주소를 사용
    • 전송 계층: 종단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. TCP 및 UDP 프로토콜을 사용
    • 세션 계층: 통신 세션을 설정, 관리 및 종료하는 역할을 합니다.
    • 표현 계층: 데이터 표현, 암호화 및 압축을 담당합니다.
    • 응용 계층: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, 이메일, 파일 전송, 웹 브라우징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들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.

    네트워크 OSI 7계층

    자주 묻는 질문 (FAQ)

    Q

    집에서 사용하는 공유기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?

    Q

    IP 주소와 MAC 주소는 어떻게 다른가요?

     

    이제 네트워크가 조금 더 친숙하게 느껴지시나요? 네트워크는 현대 사회를 움직이는 핵심 기술 중 하나입니다. 이 글에서 소개한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, 더 깊이 있는 네트워크 세계를 탐험해 보세요! 😊

     

    반응형